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호러 영화 추천] <마마>(Mama, 2013) 완벽 분석 | 기예르모 델 토로가 선사하는 모성 공포의 걸작

by apicky 2025. 8. 5.

안녕하십니까. 영화보는 apicky입니다.

이번에도 아주 제 취향의 영화 한 편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모성애가 호러가 되면 어떨지 궁금하지 않으십니까? 무섭다기보다는 슬프고 아련했던 <마마(2013)>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죠.

 

ⓒ Universal Pictures / 출처: 네이버 영화

 

<마마>(Mama, 2013) 완벽 분석 | 기예르모 델 토로가 선사하는 모성 공포의 걸작 

 

1. 영화 기본 정보, 시청 방법, 제목 의미

<마마 (Mama,2013)>는 기예르모 델 토로가 총괄 제작을 맡고 앤디 무시에티가 연출한 초자연 호러 영화입니다. 2008년 자신의 단편작을 장편으로 확장한 무시에티의 데뷔작으로, 훗날 <그것(IT)>시리즈로 이어지는 그의 호러 필모그래피의 출발점이기도 합니다.

  • 원제: Mama
  • 감독: 앤디 무시에티(Andrés Muschietti) 
  • 각본: 앤디 무시에티, 바바라 무시에티, 닐 크로스 (공동 집필)
  • 장르: 슈퍼내추럴(초자연) 호러, 스릴러, 다크 판타지
  • 개봉일: 2013년 1월 18일
  • 러닝타임: 100분
  • 제작: 스페인–캐나다–미국 합작(Wrigley Pictures 등), 기예르모 델 토로 총괄 제작(Executive Producer)
  • 배급: 유니버설 픽처스
  • 관람등급: 미국 PG-13, 국내 15세 관람가
  • 주요 출연:: 제시카 차스테인(애나벨), 니콜라이 코스터-왈도(루카스/제프리 쌍둥이), 메건 샤펜티어(빅토리아), 이자벨 넬리세(릴리), 하비에르 보텟(마마) 등.

각본가 주목:

닐 크로스는 영국 드라마 <루터>로 유명하며, 캐릭터 내면 묘사에 탁월한 심리 서사를 더했습니다. 각본 특징: 바바라 무시에티는 감독의 누나로, 가족의 정서와 고전 동화적 공포감을 강조. 닐 크로스는 ;루터'로 유명한 심리 서스펜스 작가로서 사회적 고립과 어두운 캐릭터의 내면을 깊게 구현

1-1. 쿠키 영상 유무

쿠키 영상은 없습니다. 영화 종료 후 엔딩 크레딧으로 바로 이어집니다.

1-2. 시청 방법

글로벌 OTT: Apple TV, Google Play, Amazon Prime Video, Netflix 등 구매/대여 스트리밍 가능.

국내 OTT: 시점에 따라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왓챠 등 스트리밍 서비스 변동이 있으므로 실제 검색 권장.

DVD/블루레이: 온라인몰, 수입 DVD 및 2025년 9월 Ultra HD Blu-ray(Shout! Studios Scream Factory) 재출시 예정.

※ 작품 배포권, OTT 정책은 변동성이 있으므로 시청 전 플랫폼 내 검색 필수입니다.

1-3. 영화 제목 의미 분석

"Mama"는 엄마를 뜻하는 단순한 육아자를 넘어서, 보호와 집착의 이중성을 가진 모성애의 괴물적 상징입니다.

동화적 서사 속에서 아이들을 지키는 존재로 등장하지만, 동시에 그들을 놓지 못하는 강박적 사랑을 표현합니다. 영화에서 아이들이 숲속에서 부르게된 유령보호자 마마를 뜻합니다.

 

ⓒ Universal Pictures / 출처: 네이버 영화

2. 줄거리 및 스토리 구조

2-1. 줄거리 요약

2008년 금융위기로 파산한 제프리는 아내를 살해하고 두 딸 빅토리아(3세)와 릴리(1세)를 데리고 숲 속 폐가로 도망칩니다.

스스로 생을 마감하려던 순간, 제프리는 정체불명의 존재에게 죽임을 당하고 아이들만 남겨집니다.

5년 후, 아이들의 삼촌 루카스와 그의 연인 애나벨(제시카 차스테인)이 야생화된 두 소녀를 발견합니다. 아이들은 '마마'라는 존재가 돌봐주었다고 증언하며, 이후 새 가정에서도 기이한 현상들이 계속 발생합니다.

자매 중 빅토리아는 점차 정상으로, 릴리는 본능적으로 마마에 의존합니다. 심리학자 드레이퍼스의  조사 끝에 '마마'는 19세기 정신병원에서 도주한 에디스라는 여성의 영혼임이 밝혀집니다. 아기를 잃고 절망한 채 강에 투신했지만, 아기는 나뭇가지에 걸려 따로 죽었던 비극적인 과거가 드러납니다. 최후에, '마마'는 아이들을 데리고 절벽으로 달려가지만, 애나벨이 친 아이 유골을 돌려주며 엄마 에디스의 슬픈 집착을 위로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빅토리아는 새 가족을 선택, 릴리는 마마와 함께 사라지며 끝이 납니다. 

 

주요 에피소드:

오두막 생존, 마마의 집착/화, 심령현상·환상공포 촬영, 절벽 대면, 아기 해골 반환

해결방식: 잃어버린 아이의 유해(사체)를 돌려주는 ‘구원’, 선택의 의지(빅토리아), 집착의 종말(마마와 릴리).

2-2. 구조 분석

3막 구조로 진행:

1막: 사건 발단, 아이들의 실종과 발견

2막: 마마의 정체와 갈등 심화

3막: 진실의 발견과 비극적 결말

 

영화는 전형적인 3막 구조에 동화적 서사를 결합했습니다. 1막에서 비극적 상황설정, 2막에서 초자연적 공포와 가족 갈등, 3막에서 진실 공개와 선택의 순간을 다룹니다. 특히 ' 구원을 통한 해결'이라는 고전적 호러 공식을 따르면서도 모든 이가 구원받지는 못한다는 씁쓸한 현실을 보여줍니다. 

3. 캐릭터 분석

  • 애나벨:  소녀펑크 기타리스트에서 점차 책임감 있는 ‘새로운 엄마’로 성장
  • 루카스: 진짜 가족애, 책임감
  • 빅토리아: 문명에 적응 가능한 아이로, 갈등과 선택의 키를 쥠, ‘사회화된 아이’로 변화, 새 삶 선택
  • 릴리: 마마와의 유대가 깊은 야생적 존재/ 엄마와의 분리 불안→마마와 함께 영원히 남게 됨
  • 마마(에디스): 모성의 비틀린 형상. 자식 잃은 영혼의 분노와 애착

:: 부가: 심리학자, 친생숙모(빅토리아와 릴리의 양육권 분쟁), 마마=해결+파멸상의 표상.

 

ⓒ Universal Pictures / 출처: 네이버 영화

4. 명장면 & 상징 분석

  • 오프닝 아이 그림 → 순수함과 동시에 불안함 미래 암시, 과거의 트라우마를 시각화
  • 마마의 기괴한 등장 → 실사 연기와 와이어 액션의 조화, 독특한 공포감 조성
  • 파란 나비와 절벽 장면 → 죽음과 환생, 자유와 구속의 이중적 의미

영화는 모성의 양면성을 탐구합니다. 보호와 구속, 사랑과 집착, 양육과 소유욕 사이의 경계선을 흐리며 관객에게 불편한 질문을 던집니다. 또한 선택의 자유와 소속감의 딜레마를 아동의 시선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5. 제작 비하인드

기예르모 델 토로가 직접 제작을 지원했고,  촬영은 캐나다 토론토와 퀘벡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마마'캐릭터는 무용수 출신의 실존 배우 하비에르 보텟의 특이한 신체와 와이어액션, 실제 분장+CG 조합으로 “비정상적 움직임의 유령” 실감 연출했으며, CG를 최소화해 실제 연기 위주로 촬영되었습니다. 

무시에티 감독은 고전 호러의 점프 스케어보다는 지속적인 불안감 조성에 집중했으며 카메라 워크와 조명을 통해 동화적이면서도 섬뜩한 분위기를 구축했습니다.

 

ⓒ Universal Pictures / 출처: 네이버 영화

6. 흥행 성적 및 평가

제작비 약 1,500만 달러로 전 세계 1억 4,80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상업적 성공을 거뒀습니다. 북미 박스오피스 1위로 데뷔했으며 제시카 차스테인이 같은 시기 <제로 다크 서티>와 함께 연기력을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비평가들은 분위기 연출과 배우들의 연기를 호평했으나, 일부 클리셰적 요소와 후반부 전개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그럼에도 장르 영화로서의 완성도와 독창성은 높이 평가받았습니다.

7. 속편 및 확장 가능성

공식 속편은 발표되지 않았으나, 앤디 무시에티는 <그것(It)>, <더 플래시> 등으로 커리어를 이어갔습니다. <마마>는 독립적 세계관으로 평가받아 확장은 계획되지 않았습니다. 

 

ⓒ Universal Pictures / 출처: 네이버 영화

8. 개인 감상 및 추천

이 작품은 단순한 호러를 넘어서는 깊은 감동을 선사합니다. 공포 장르 임에도 불구하고 진한 감성이 흐르며 특히 아이들이 등장하는 장면들에서 안타까움과 연민이 배가됩니다. 

관객들은 자연스럽게 캐릭터에게 감정이입하게 되고, 마지막 선택의 순간에서는 복잡한 여운을 남깁니다.

특히 오프닝의 아이들 그림은 순수함 속에 감춰진 트라우마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인상적인 장치였으며, 이는 영화 전체의 톤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추천대상

-감성적 호러를 선호하는 관객

-가족관계와 모성을 다룬 심리스리러 팬

-호러 영화를 접해보고 싶은 초심자

 

유사 작품 추천

컨저링, 더보이, 바바둑, , 크림슨 피크, 판의미로: 오필리아와 세 개의 열쇠 등 가족/유령 등 모성+ 심리 호러물